[스크랩] 신라시대의 높은 과학 수준을 보여주는 귀중한 문화재 - 첨성대
첨성대의 역사적의미와 진실
천체의 움직임을 관찰하던 신라시대의 천문관측대로, 받침대 역할을 하는 기단부(基壇部)위에 술병 모양의 원통부(圓筒部)를 올리고 맨 위에 정(井)자형의 정상부(頂上部)를 얹은 모습이다. 높이는 9.17m이다.
천문학은 하늘의 움직임에 따라 농사 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농업과 깊은 관계가 있으며, 관측 결과에 따라 국가의 길흉을 점치던 점성술(占星術)이 고대국가에서 중요시되었던 점으로 미루어 보면 정치와도 관련이 깊음을 알 수 있다. 따라서 일찍부터 국가의 큰 관심사가 되었으며, 이는 첨성대 건립의 좋은 배경이 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.
원통부는 부채꼴 모양의 돌로 27단을 쌓아 올렸으며, 매끄럽게 잘 다듬어진 외부에 비해 내부는 돌의 뒷뿌리가 삐죽삐죽 나와 벽면이 고르지 않다. 남동쪽으로 난 창을 중심으로 아래쪽은 막돌로 채워져 있고 위쪽은 정상까지 뚫려서 속이 비어 있다. 동쪽 절반이 판돌로 막혀있는 정상부는 정(井)자 모양으로 맞물린 길다란 석재의 끝이 바깥까지 뚫고 나와있다. 이런 모습은 19∼20단, 25∼26단에서도 발견되는데 내부에서 사다리를 걸치기에 적당했던 것으로 보인다. 옛 기록에 의하면, “사람이 가운데로 해서 올라가게 되어있다”라고 하였는데, 바깥쪽에 사다리를 놓고 창을 통해 안으로 들어간 후 사다리를 이용해 꼭대기까지 올라가 하늘을 관찰했던 것으로 보인다.
부채꼴 모양의 원통부는 총 27단인데, 아래 네모 받침대를 빼고 중간 창까지 12단은 1년을 상징하는 12달,
중간 창에서 다시 3단을 쌓고, 그 위로 다시 12단을 쌓았다. 이로써 중간 3단을 빼고 나면 24단이 되는데
이는 24절기를 뜻하며, 중간 3단을 모두 합치면 27단이 된다. 이것은 신라 제27대 선덕여왕(재위 632∼647)에
첨문대가 건축되었음을 뜻한다고 한다.
원통부에 사용된 석재(벽돌 모양)은 1년 365일을 뜻하는데 분명 한건 365개가 아니라는 것이다.(평년과 윤년을 모두 계산했기에~~)
바깥에서 사다리를 이용해 중간창으로 들어와 다시 정상부로 통하는 사다리와 통로...
첨성대에 사용된 석재는 자갈과 모래라고 하는데, 겉에서 보면 반질반질 매끈매끈해 보이지만
첨성대 안쪽은 그렇치가 않다. 까칠한 석재료를 그대로 놔 둔것은 지진(바람에 의한 흔들림 포함)에 대비한
것이라 하는데, 이로써 우리 옛 선조들의 과학적 지혜를 짐작하지 않을수없다.
신라문화체험관에서 찬란한 문화유산을 내 손으로 직접 만들어볼수가 있다.
두 아들은 석가탑,다보탑,첨성대,기마총을 만들기로 했다.(한국 여행 선물이라고 중국 친구들에게 선물할거란다. 기특도 하구나!)
찬란한 천년 문화의 도시 경주는 9년전 부모님과 두 아들을 데리고 다녀온적이 있었는데, 올 여름방학엔
세 모자만 다녀오게 되었다. 우리의 자랑스런 문화와 역사를 외국생활을 하는 내 아이들에게 되새김을 시켜주고 싶었다.
경주를 다녀온이후 작은애는 '경주 사랑'에 빠졌다. 언젠가 그날이 오면 다시 경주를 찾아볼 생각이다.
*첨성대에 관한 자료는 문화재청 홈페이지의 글과 신라문화체험관에서 수고하시는 선생님의 말씀을 참고로 하였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