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립민속박물관

쟤료가 특별한 집들

★미소천사★ 2007. 12. 11. 15:31

나는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옛날에 쓰던 물건을 많이 알게 되었어요.

 재료가 특별한 집에 대해 알아봅니다.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샛집

바람이 많은 제주도에서 주로 지었어요.  들이나 산에서 나는 억새풀으 한 종류인 왕골, 갈대 등의 풀을 베어서 만든 지붕인데, 그수면이 이십년에서 삼십년이나 되었습니다.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너와집

너와는 나무가 많은 산간지방에서볏짚대신 소나무 토막을 길이로 세워 놓고 도끼로 쪼갠 작은 널판입니다. 크기가 일정하지 않고, 지붕을 만들 때는 바람에 날리는 것을 막기 위해 군데군데 돌을 얹어 둡니다.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굴피집

굴피는 상수리나무의 껍질로 산간지대지붕에 썼습니다.  생김새는 마치 누더지지붕 같습니다.  날씨에 따라 굴피가 오므라들고 늘어나는 장점을 이용해 만든 지붕입니다.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초가집

민가의 가장 흔한 지붕입니다. 벼에서 낟알을 털어내고 남은 벼를 이용해서 지었어요.  볏집 속이 비어서 그 안의 공기가 여름에는 햇볕의 뜨거움을 덜어주고 겨울에는 집 안의 온기를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줍니다.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기와집

양반이나 귀족들의 집이에요. 모래, 흙, 물을 섞어 반죽하여 가마에 구워낸 것입니다. 암키와와 수키와, 암막새와 수막새등 다양한 기와가 하나의 지붕을 이루어 아름답고 튼튼해요.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 

 

'국립민속박물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우리나라 민속의 특징  (0) 2007.12.19
국립민속 박물관  (0) 2007.12.19